Body 리깅(6) 목 리깅(스트래치,오토볼륨) 마무리하기
1 『목 스트래치 만들기』
- Neck_ik_Spline_Crv shape노드를 노드에디터에 불러온다.
- curveinfo노드를 생성한다.
- 목 컨트롤러 shape의 worldSpace[0]값을 curveinfo의 other-> inputCurve에 연결한다.
- multiplyDivide노드를 2개 생성하고, divide모드로 설정한다. (이름 설정: Neck_stretch_multi1,2)
- curveinfo노드의 arcLength를 Neck_stretch_multi1의 input 1X와 연결한다.
- main컨트롤러를 노드에디터에 불러온다.(not shape)
- main컨트롤러의 scale -> scale X값을 Neck_stretch_input 2X와 연결한다.
- Neck_ik_multi1 노드의 output X값을 Neck_ik_multi2 노드의 input1X와 연결한다.
- Neck ik_multi2의 input 1X값을 복사하여 input 2X에 삽입한다. (아래 사진 참조)
- 4개의 Neck_ BSkin 조인트를 갖고온다.
- Neck ik multi 2의 outputX를 Neck_BSkin조인트들의 scale -> scaleX와 연결한다.
2 『오토볼륨 만들기』
- Head 컨트롤러에 'add Attribute'로 auto_Volume 항목을 0~1로 float값으로 생성한다.
- condition노드를 생성한다. (neck_autovolume_condition 이름지정)
- Head_Ctrl shape노드를 불러온다 (no shape)
- Head컨트롤러의 auto_volume항목을 condition노드의 'first term'에 연결한다.
- stretch노드를 생성할 때 만들었던, Neck_stretch_multi2의 outputX값을,
neck_autovolume_condition노드의 Color if True값의 true R에 연결한다.
- multiplydivide노드를 2개 생성한다. (Neck_stretch_multi2를 복사해도 상관없음) -> 이름은 Neck_ik_auto_multi1,2로 지정한다.
-neck_autovolume_condition노드의 outColorR (outputR)을 Neck_autovolume_multi1의 input 1X에 연결한다.
- neck_autovolume_multi1의 input2값을 0.5로 설정하고, operation을 'power'로 지정한다.
- neck_autovolume_multi1의 output 1X값을 neck_autovolume_multi2의 input 2X에 연결한다. (input 1X의 수치를 1로 설정하고, operation을 divide로 지정한다.)
- neck_autovolume_multi2의 output 1X값을 Neck_BSkin_Bottom~ Head의 scale -> scaleY, scaleZ와 각각 연결한다.
- node 에디터를 bookmark한다.
'애니메이팅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그래프에디터로 사이클 반복 만들기 (0) | 2019.05.13 |
---|---|
[Maya] Body 리깅(7) 목 리깅 마무리하기 (0) | 2019.05.13 |
[Maya] Body 리깅(5) 목 조인트 ~ 컨트롤러 설정 (0) | 2019.05.11 |
[Maya] Body 리깅(4) auto스트래치 리깅 (0) | 2019.05.10 |
[Maya] Body 리깅(3) 허리 컨트롤러 FK설정 (0) | 2019.05.09 |